김경철 원장
에듀플레너
정서적으로 성숙한 자녀는 욕구불만을 어떤 식으로든 스스로 해결합니다. 일단 한걸음 뒤로 물려나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만족을 유보하는 법을 배운 자녀들은 자긍심 있고, 주관이 뚜렷하며, 욕구불만을 건설적으로 처리합니다. 또한 자기주도적이고, 시련을 견디며, 스트레스를 받아도 쉽게 무너지지 않습니다.
자녀들은 욕구불만을 해결하는 방법을 부모에게서 배웁니다. 만일 부모가 인생에서 충족되지 않는 문제에 대해 불건전한 반응(화를 내거나 안절부절 못하는 등)을 보인다면 자녀들도 그런 식으로 행동할 것입니다. 반대로 부모가 침착하고 긍정적으로 해결책을 찾는다면 자녀도 그런 접근방식을 배울 것입니다.
자녀가 불만을 표시할 때 부모가 보여주는 반응 또한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만일 부모가 화를 내고 초조해하면, 자녀의 불만은 더욱 커지고 또 다른 해로운 감정으로 확대됩니다. 자애로운 목소리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물어보고, 함께 상의해 해결책을 찾아보도록 해야 합니다.
힘든 시간을 견딜 수 있는 긍정적이고 평온한 시각을 갖게 해주고,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는지 지도해야 합니다. 자녀가 수업을 따라가기 힘들어하면 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고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교사에게 도움을 청해보거나 직접 지도를 해줄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자녀가 문제를 해결하고 나면 부정적인 감정을 극복하고 상황을 통제하는 능력이 조금씩 향상 될것입니다.
또한 언제까지나 부모에게 의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해야 합니다. 자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배우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자녀가 컴퓨터를 하다가 도움을 청하면, 우선 10분동안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보도록 합니다. 문제를 작은 부분들로 나누거나 방법을 바꾸어서 접근해보게 합니다. 만일 인터넷에서 어떤 인용문의 출처를 찾는다면, 다른 검색엔진을 찾아보거나 다른 단어를 타이핑해보라고 조언할 수 있습니다. 부모가 대신 해주면 가장 빠르고 싶겠지만 질문을 통해 자녀 스스로 해결하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또한 우리에게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떤 절차를 거쳐서 해결하는지 설명해 줘야합니다.
감정적인 성숙을 보여주는 기본적인 차이는 '주체성' , 즉 자신에 대한 평가를 다른 사람에게 의존하지 않는 것입니다. 정서적으로 성숙해지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사랑할 줄 알고 주체적이 되어야 합니다. 사람들은 누구나 인정받고 싶어하지만, 정서적으로 성숙한 자녀들은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과 인정을 받으려고 하기보다 선택적입니다. '나에게 중요한 사람들만 기쁘게 해주면 된다' 혹은 '모두가 나를 좋아하지 않아도 상관 없다' 라는 식으로 생각합니다.
정서적으로 미성숙한 자녀들이 엄격한 흑백논리로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성숙한 자녀들은 세상에 대한 관점이 다양합니다. 정서적으로 성숙한 자녀는 세상을 정도의 차이로 평가합니다. 모든 욕구가 채워질 수는 없으며, 여러 사람에 의해 다양하게 사랑받을 수 있고, 실수할 수 있고, 성공할 수도 실패할 수도 있다는 '회색논리'로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다양한 평가 속에서 만족과 행복을 발견합니다.
이처럼 부모는 자녀가 흑백논리로 세상을 인식할 때 다른 선택도 있다는 것을 귀띔해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녀가 A반에 들어가지 못해서 경시반을 그만두겠다고 한다면, B반에 들어가 일정기간 열심히 노력한다면 다음 기회에는 A반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이야기 해줍니다. 그러면 자녀는 불확실하고 모호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 쉽게 적응할 수 있게 됩니다.
정서적으로 성숙한 자녀들은 성취에 대해서도 건전한 사고방식을 갖고 있습니다. 그들은 성공과 실패에 대해 자긍심에 위협이 되지 않는 적당한 거리를 두고 바라봅니다. "나는 최선을 다하고 싶다." "때로는 실패해도 상관없다." 라는 마음가짐을 갖는다면 성취를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을 것입니다.
김경철 에듀플래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