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 제법 날씨도 쌀쌀해져 옷깃을 여미는 겨울이 다가와 각종 난로 등 보온기구들을 준비하고 있을 것이다.
겨울 추위가 본격화되면서 난방기기 화재 우려도 높아지고 있음으로 화재예방 주의가 각별히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따뜻한 겨울을 보내기 위해 화목난로와 이동식 석유난로, 전기장판, 전기보일러, 가스보일러 등 화재가 집중되는 난방기기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기배선과 콘센트는 여려개의 기기를 연결하는 문어발식 코드를 사용하여 전기누전, 전열기구 과열, 과부하가 발생되어 종종 대형화재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외출시는 항상 사용하지 않는 전기, 전자제품의 코드는 뽐는 습관을 가져야 하며 가스보일러는 정기적으로 가스배관 연결부분과 중간 밸브 등을 비누거품으로 점검해서 사전예방 조치해야 된다.
또한, 가스버너를 사용할 때는 국민들이 위험성을 절실히 느끼지 못하고 있어 가끔 자리를 비우거나 외출을 하여서는 안되며 요리를 다한 후에는 소화 콕크밸브와 중간밸브를 차단하도록 각별히 주의가 요구된다.
화목보일러와 이동식 석유난로는 도심에서는 많이 사라진 상태이지만 아직도 재래시장 등 사각지대인 화재취약장소에서 종종 사용하고 있고 듣기에 따라서는 생소할 수도 있다.
화목보일러는 쉽게 말해 예전의 외장형 아궁이고 이동식 석유난로는 고정시키지 않고 재래시장 등 점포 등에서 사용하는 난로를 말하고 있으며, 완전 바닥에 고정을 시키지 않아 겨울철에 큰 대형화재로 번지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결국은 소방당국이 아무리 많은 노력을 경주하더라도 시민들이 적극 동참하지 않으면 재난예방 실천과제가 무색해지기 마련이며 가장 중요한 것은 재난예방 실천이 최우선 과제이지만 만약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는 신속한 초기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기초소방시설(소화기, 단독경보형감지기)을 조기 설치하여 초기진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화재피해를 최소화 할 것을 당부드린다.
소화기는 “화재발생 초기에 소방차 1대의 위력을 발휘한다”는 말도 있듯이 이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생각으로 전 국민이 동참을 해서 화재예방에 최선을 다해야겠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