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8 (화)

  • 흐림동두천 -0.7℃
  • 흐림강릉 1.3℃
  • 서울 1.1℃
  • 대전 1.8℃
  • 흐림대구 0.8℃
  • 구름많음울산 0.9℃
  • 흐림광주 3.9℃
  • 맑음부산 3.5℃
  • 흐림고창 0.6℃
  • 맑음제주 5.7℃
  • 구름많음강화 0.6℃
  • 흐림보은 2.0℃
  • 흐림금산 0.9℃
  • 구름조금강진군 -1.2℃
  • 구름많음경주시 -1.9℃
  • 맑음거제 1.7℃
기상청 제공

정치/사회

서대문JC 창립 45주년 및 특우회 36주년 대회

자매JC 臺灣 二林 JC와 신제주JC도 함께해

지난 3월 24일 거구장에서 지역사회개발, 지도력 계발, 세계와의 우정이라는 3원칙아래 모인 서대문청년회의소(회장 주영훈/이하 서대문JC)의 창립 45주년과 특우회 창립 제36주년을 맞아 성대한 잔치를 열었다.

또한 권신원 중앙회장을 비롯 자매결연을 맺은 臺灣 二林 JC와 신제주JC 회장과 회장단 등을 비롯한 서대문JC회원과 가족등 JC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준비위원장인 박상태 상임부회장의 입장으로 행사가 시작됐다.

특히 류상호 서대문구의회 의장을 비롯 강대일 경찰서장, 장현태 소방서장 등도 함께 참여해 청년회원들의 의기를 격려하고 축하했다.

“희망과 열정으로 참여하는 서대문JC"를 슬로건으로 출발한 제45대 주영훈 회장을 중심으로 굳게 뭉친 서대문JC는 뛰어난 결속력을 자랑하는 명품로컬로 그 명성을 만들어 가고 있다.

주영훈 회장을 비롯한 회장단의 노력과 회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운데 진행된 이날 축제의 자리에서 준비위원장인 박상태 상임부회장은 “좀더 발전하는 지역사회를 위한 생각의 변화로 서울지구 리딩찹타로 거듭 태어나고자 항상노력하고 있다”며 참석한 내외빈과 회원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

특히 대외표창으로 서대문JC와 지역발전을 위해 헌신한 김종현 회원에게 서대문경찰서장 표창을, 유민균 사무국장에게 서대문 소방서장 표창을 수여했으며 박상태 상임부회장에게 한국JC중앙회장 표창을 수여하며 격려했다.

또한 윤금한 특우회장은 “김건태 초대 회장을 비롯한 역대 회장님들과 선배님들의 뜨거운 열정과 헌신으로 우리 서대문JC는 명문로칼로 성장했다”며 특우회 36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참여해 주신 내외 귀빈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한편 주영훈 회장은 “먼저 본회의 긴 역사의 시작을 위해 많은 어려움을 이기고 JC 이념을 계승해 주신 김건성 초대회장님과 윤금환 특우회장님을 비롯한 역대회장님과 역대 특우회장님과 선배님들 한분 한분께 감사를 드린다”며 “희망과 열정으로 참여하는 서대문 JC라는 슬로건으로 45년의 긴역사를 이어 가려고 여러분과 항상 함께 할 것이며 회원 상호간의 사랑과 신뢰와 관심으로 하나가 되어 진정한 명문로칼로서, 성숙하고 귀감이 되는 조직으로서 거듭날 것을 확신하며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청년의 조직, 서대문 JC를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서대문구 서대문구의회 서대문구소방서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전국지역신문협회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
심미경 서울시의원, ‘교육환경 보호조례’ 개정 발의
심미경 서울시의원(동대문2) 서울시의회 심미경 의원(국민의힘, 동대문 제2선거구)이 학생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학습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교육환경 보호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을 제도화해, 서울의 대도시 특수성이 반영된 학교 교육환경 보호체계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교육환경법, 시행령, 조례는 교육감에게 대규모 재개발이나 사업시설의 유입 등으로부터 교육환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서울시, 자치구,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사업시행 중이나 사후에도 집단민원이 발생하거나 훼손된 교육환경에 어린 학생들이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잦아 제도 개선을 위한 목소리가 높았다. 심 의원은 이번 개정안에 교육감이 학생, 학부모,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이를 교육환경 보호 정책에 반영하도록 교육감의 책무를 명확히 규정하는 조항을 담았다. 또한 심 의원은 “현재 교육환경보호구역 설정·관리가 단순히 교육청·학교와 개발업체 간의 형식적인 행정절차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교육환경 보호는 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