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6 (목)

  • 맑음동두천 -0.9℃
  • 구름조금강릉 0.4℃
  • 맑음서울 1.5℃
  • 맑음대전 2.5℃
  • 구름많음대구 4.1℃
  • 흐림울산 3.6℃
  • 흐림광주 4.9℃
  • 흐림부산 5.1℃
  • 흐림고창 2.2℃
  • 흐림제주 7.2℃
  • 맑음강화 2.1℃
  • 구름조금보은 1.0℃
  • 흐림금산 2.4℃
  • 흐림강진군 5.2℃
  • 흐림경주시 3.6℃
  • 흐림거제 5.1℃
기상청 제공

정치/사회

서대문소방서 2015년도 총22,526건 출동

구급출동 19,065건, 화재출동 301건 등

서대문소방서(서장 장현태)는 지난 2015년 한해동안 총출동건수 22,526건으로 하루평균 62회 출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대문소방서에서 분석한 전년도 화재 및 구조·구급활동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하루 평균 62건에 총 22,526건 출동하였으며 세부적으로 구분하면 화재출동 301건(처리건수 215건), 구조출동 1,896건(처리건수 1,618건, 구조인원 405명), 구급출동 19,065건(이송건수 11,581건, 이송인원 11,716명), 생활안전출동 1,264건(처리건수 1,264건)을 각각 처리된 것으로 집계됐다.

서대문구 화재발생 현황을 분석해보면 2014년 출동건수는 379건, 2015년에는 출동건수 301건(전년도 대비 20.6%감소)되었으며 인명피해는 4명(사망1, 부상3)과 재산피해 180,093(천원)이 발생했다.

화재원인별 살펴보면, 부주의(담뱃불,음식물) 146건(49%), 기계적요인 45건(15%), 전기적요인 6건(2%)순으로 각각 집계된바 이와같이 가장 시급한 것이 “일상생활속에서 조그마한 방심이 대형화재를 발생시키는바 국민 모두가 내가 주인이라는 화재예방안전의식을 고취시켜야 인명 및 재산피해를 크게 줄일수 있다”고 말했다.

구조활동현황은 2014년 구조출동건수 1,656건이 발생되었고 2015년1,896건(전년도대비 14.5%증가)이 나타났으며 구조 사고유형별은 위치추적 779명(41%), 동물구조 587명(31%), 시건개방 251명(13%)순으로 많이 발생했다.

구급활동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출동건수 18,344건, 2015년은 19,065건(전년도대비 4%증가)으로 나타났고 유형별은 질병 9,677명(51%), 추락/낙상 1,658명(9%), 교통사고 1,066(9%)순으로 집계되었다. 구급증가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급격히 도시화되면서 공기오염 등으로 급성,만성 질병의 환자가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현태소방서장은 “지난해 소방활동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시민들에게 생활 속 안전관리에 대해 지속적으로 보완할것이며 2016년도에는 현장중심의 골든타임 확보하고자 각종 재난발생시 더욱 신속히 대처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서대문구 서대문구의회 서대문구소방서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전국지역신문협회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
심미경 서울시의원, ‘교육환경 보호조례’ 개정 발의
심미경 서울시의원(동대문2) 서울시의회 심미경 의원(국민의힘, 동대문 제2선거구)이 학생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학습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교육환경 보호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을 제도화해, 서울의 대도시 특수성이 반영된 학교 교육환경 보호체계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교육환경법, 시행령, 조례는 교육감에게 대규모 재개발이나 사업시설의 유입 등으로부터 교육환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서울시, 자치구,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사업시행 중이나 사후에도 집단민원이 발생하거나 훼손된 교육환경에 어린 학생들이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잦아 제도 개선을 위한 목소리가 높았다. 심 의원은 이번 개정안에 교육감이 학생, 학부모,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이를 교육환경 보호 정책에 반영하도록 교육감의 책무를 명확히 규정하는 조항을 담았다. 또한 심 의원은 “현재 교육환경보호구역 설정·관리가 단순히 교육청·학교와 개발업체 간의 형식적인 행정절차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교육환경 보호는 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