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용시험에 합격했으나 제때 발령을 받지 못해 임용을 대기 중인 서울 관내 예비 초등 교원이 741 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
조상호 서울시의원 (더불어민주당 , 서대문구 제 4 선거구 )이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 년 3 월 기준 , 임용시험에 합격하고도 아직 학교로 발령받지 못한 예비 교원들이 총 911 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급별로 보면 최근 4 년간 (2016~2019) 누적 미발령 교원은 초등학교 교원이 741 명 (81.4%)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
이어 유아교원 95 명 , 보건 ·영양 ·사서 ·상담 교원 35 명 , 특수교원 34 명 , 중등교원 6 명 순이었다 .
연도별로 보면 초등교원 임용대기자 미발령 인원은 소폭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 그러나 유아교원 , 특수교원 , 보건 ·영양 ·사서 ·상담 교원의 경우 해마다 미발령 인원이 증가추세를 나타내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
이에 대해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초등학교 교원의 발령적체 현상이 유독 두드러진 이유는 초등교원 정원 감축 및 퇴직 인원 감소에 따른 것 ”이라고 설명했다 .
또 “정책적 요구에 따른 선발 규모 확대로 미발령 인원이 대폭 증가한 측면도 있다 ”고 답변했다 .
조상호 시의원은 “서울시교육청이 다년간 누적된 미발령 교원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무턱대고 신규 채용만 실시하다 보니 임용시험을 합격하고도 발령만 기다리면서 애간장을 타야 하는 예비교원들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며 , “앞으로 서울시교육청은 일선 학교 현장의 교원 수요를 면밀하게 파악하고 보다 예측 가능한 신규교원 수급정책을 마련하여 매해 반복되는 임용적체 현상을 근절할 필요가 있다 ”고 강조했다 .
이상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