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지사 풋프린팅 메모리얼 로드'와 '3.1운동 100년 스토리텔링 로드' 조성 추진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 행사 모습. 왼쪽부터 ▲시민들의 만세 삼창 ▲독립만세운동 재현 행진 ▲서대문역사어린이합창단 공연.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나라사랑 정신을 높이고 순국선열의 희생정신을 기리는 뜻깊은 행사가 서울 서대문구에 마련된다.
서대문구는 3.1운동 100주년을 맞는 3월 1일 일제 치하 독립운동을 대표적으로 상징하는 현장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끝나지 않는 100년의 외침!’이란 주제로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 행사를 개최한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이란 이름으로 개소된 이래, 3.1만세운동으로 잡혀온 유관순 열사가 숨을 거두는 등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고난을 치른 역사의 현장이다.
삼일절 오전 9시 독립문 앞에서 서대문, 은평, 마포구청장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 태극기를 든 시민 300여 명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광화문 광장까지 행진한다.
이어 이날 오전 11시에 시작되는 '제100주년 3·1절 중앙기념식'에 참석한다.
삼일절 오후 1시 40분부터는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3.1독립만세운동 재현 퍼포먼스 △‘끝나지 않는 100년의 외침’ 플래시 몹 △독립만세 크게 외치기 대회 △독립운동사 퀴즈 왕 선발대회 △통곡의 미루나무 사형장 퍼포먼스가 3시간 동안 잇달아 펼쳐진다. 또 독립운동가 옷차림을 한 배우들이 퍼포먼스를 펼치고 관람객들과 기념촬영도 한다.
안성3.1운동기념관의 ‘태극기 만세 가방 만들기’, 매헌윤봉길의사기념관의 ‘윤봉길의사 등불 만들기’, 심산김창숙기념관의 ‘무궁화 꽃 만들기’ 등 서울, 경기, 강원도 지역의 독립운동 관련 기념관 10곳이 참여해 무료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마포구와 은평구도 체험 부스를 운영한다.
독립선언서와 3.1운동 태극기 등사하기, 태극연 날리기, 독립운동가 추모 글쓰기 등의 프로그램도 눈길을 모은다. 체험 프로그램은 삼일절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4시 30분까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곳곳에서 펼쳐지며 일부 프로그램은 소정의 재료비를 받는다.
지하철 3호선 독립문역 5번 출구로 나오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 닿을 수 있으며 삼일절 당일에는 누구나 무료입장할 수 있다.
한편 서대문구가 지난해 초부터 준비해 온 다양한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들이 잇달아 결실을 이룬다.
이달 25일에는 3.1운동으로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던 이들 중 수형기록카드가 남아 있는 천여 명의 기록을 모아 ‘3.1운동 수감자 자료집’을 발간한다. 또 이날 ‘서대문형무소 3.1운동 수감자의 현황과 특징’이란 주제로 자료집 발간 기념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구는 아울러 문화재청과 함께 30여 점의 항일독립운동 문화재를 활용한 특별 기획전시회 ‘항일문화재로 보는 100년 전 그날’을 2월 19일부터 4월 21일까지 역사관 내 10옥사와 12옥사에서 연다. 2월 22일에는 이 전시를 기념해 ‘항일문화유산의 현황과 보존, 활용 방안’을 주제로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 밖에도 ‘여성독립운동가 기획 강좌’를 1∼2월 5회에 걸쳐 진행한 데 이어 ‘2019년 이달의 독립운동가 특강’을 1월부터 12월까지 매월 셋째 주 화요일 오후 2~4시에 연다.
나아가 문석진 구청장은 “애국선열이 추구한 자유와 평화의 정신을 현 세대와 공유하고 그 의미를 되새길 수 있도록 서대문형무소역사관 일대에 ‘3.1운동 100년 스토리텔링 로드’와 ‘독립지사 풋프린팅 메모리얼 로드’, ‘추모공간’ 등을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충길 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