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18 (화)

  • 흐림동두천 -0.7℃
  • 흐림강릉 1.3℃
  • 서울 1.1℃
  • 대전 1.8℃
  • 흐림대구 0.8℃
  • 구름많음울산 0.9℃
  • 흐림광주 3.9℃
  • 맑음부산 3.5℃
  • 흐림고창 0.6℃
  • 맑음제주 5.7℃
  • 구름많음강화 0.6℃
  • 흐림보은 2.0℃
  • 흐림금산 0.9℃
  • 구름조금강진군 -1.2℃
  • 구름많음경주시 -1.9℃
  • 맑음거제 1.7℃
기상청 제공

의정

현장출동 소방인력 37%나 모자라,

‘지역대’소방공무원 기준치의 36%, 위급상황 대처불가

현장에 출동하는 소방관의 수가 기준치에 한참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대문(을) 김영호 의원이 소방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2016년 12월 기준 부족한 현장 소방인력은 19,254명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인력 51,714명 중 63%의 인력 정도밖에 확보되지 않은 상태인 것이다.
시도별로는 서울이 94%의 현장 소방인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에 반해 세종(48%),충북(42%), 충남(49.96%)에서는 절반의 현장 소방인력마저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전남(51.3%), 경북(51%) 제주(53%) 등은 간신히 절반을 넘긴 수준 이었다.
서울을 제외하고는 80% 이상의 인력을 확보하고 있는 시도마저 없었고 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대전의 현장 소방인력 확보율도 79.6%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서울시와 다른 시도 간 큰 격차를 보였다.
‘분야별 현장인력 부족 현황’을 보면 지역대 소방공무원(※ 소방수요가 있지만 119안전센터를 설치할만한 수요가 아닌 경우 인근 안전센터 산하의 119지역대를 두어 관할하게 함) 기준인력 5,935명 중 배정된 인원은 2,161명으로 확보율이 36%에 불과했다. 특히 전남에서는 지역대 소방공무원 기준인력 1,188명 중 고작 312명만 배치되어 있어 배정율이 가장 낮았다. 항공대 현장 소방인력 또한 크게 부족했는데 전체 기준인력 602명 중 고작 246명이 배치되어 있었다.
김영호 의원은‘세월호 참사 등 각종 재난을 겪은 후 현장 긴급대응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커졌지만 소방관 인력 부족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며 ‘국민들이 안전문제에 관한 불안감을 떨치기 위해서라도 소방관 인력 확충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신지윤 기자
서대문구 서대문구의회 서대문구소방서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의회 전국지역신문협회


포토뉴스

더보기

배너
심미경 서울시의원, ‘교육환경 보호조례’ 개정 발의
심미경 서울시의원(동대문2) 서울시의회 심미경 의원(국민의힘, 동대문 제2선거구)이 학생들의 안전하고 쾌적한 학습 환경을 보장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대표발의했다. 이번 개정안은 교육환경 보호에 대한 주민의견 수렴을 제도화해, 서울의 대도시 특수성이 반영된 학교 교육환경 보호체계가 작동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 교육환경법, 시행령, 조례는 교육감에게 대규모 재개발이나 사업시설의 유입 등으로부터 교육환경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서울시, 자치구,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체계를 구축해 관리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사업시행 중이나 사후에도 집단민원이 발생하거나 훼손된 교육환경에 어린 학생들이 피해를 보는 사례가 잦아 제도 개선을 위한 목소리가 높았다. 심 의원은 이번 개정안에 교육감이 학생, 학부모,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고 이를 교육환경 보호 정책에 반영하도록 교육감의 책무를 명확히 규정하는 조항을 담았다. 또한 심 의원은 “현재 교육환경보호구역 설정·관리가 단순히 교육청·학교와 개발업체 간의 형식적인 행정절차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우려하면서 “교육환경 보호는 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