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서대문역세권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응모 추진

충정로역에서 영천시장에 이르는 서대문역세권 대상 (230,000㎡)

관리자 기자  2016.03.23 17:48:19

기사프린트

시, 올해 5월 희망지 선정 후 내년 2월 최종 대상지역 선정

올 들어 서울시가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지정을 위한 ‘희망지 주민공모’를 진행하는 가운데 현재 서대문구에서는 천연동과 충현동을 중심으로 주민들이 응모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상 지역은 충정로역에서 영천시장에 이르는 서대문역세권으로 면적은 약 230,000㎡다.

이곳은 도심에 인접한 서울 서북권 교통요충지로, 서대문고가 철거 등의 여건 변화로 도시재생 잠재력이 있는 지역이다.

20년 넘은 건축물이 70% 이상 되고, ▲북아현뉴타운 ▲마포로 도시환경정비사업 ▲종로구 돈의문뉴타운 등 대규모 개발 지역에 둘러싸여 상대적 낙후도가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선정의 당위성을 높이고 있다.

아울러 서대문구가 ‘아현·서대문역세권 TF’운영과 연계해 도시재생사업 추진에 필요한 효율적 업무 지원을 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서울시는 이미 3월 2일~3일에 천연동 주민센터에서 희망 주민을 대상으로 주민공모 컨설팅을 진행하고 신청서 작성방법과 사업 내용 등을 상세히 안내했다.

이 자리에 참석한 주민 이미선 씨는 “앞으로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꼭 선정돼 낡은 주거환경이 개선되고 지역상권과 주민공동체가 활성화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주민 최용숙 씨는 “육아, 보육, 교육을 위한 물리적 공간이 개선되고 주차, 쓰레기 배출과 수거, 집수리, 안전을 위한 환경이 나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창신숭인, 창동상계, 가리봉, 해방촌, 장안평 등 창신 숭인·해방촌 등 13곳을 '서울형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으로 선정한 바 있다.

올해는 ‘주민역량이 도시재생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공모부터 지정까지 주민들의 공동체 활동 기반과 생태계 조성을 우선시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4월 하순부터 ▲주민 제안 신청서 제출 ▲자치구 심사 및 지원계획서 작성 ▲자치구 희망지사업 공모신청을 거쳐 우선 5월 말에 최대 20곳 이내의 ‘희망지’를 선정한다.

이어 올해 6월부터 12월까지 7개월간 워크숍과 교육, 소식지발행, 거점공간 설치, 운용인력 파견 등 ‘주민 주도의 도시재생’을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최종 대상지는 주민역량이 갖춰진 곳을 평가해 내년 2월에 선정할 예정이다.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되면 주민이 중심이 돼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을 실현하고, 지정 유형에 따라 향후 4~5년간 서울시로부터 1백억 원에서 5백억 원을 지원을 받는다.

대상지 선정은 ▲경제기반형 ▲근린재생중심시가지형 ▲근린재생일반형 등 3개 유형으로 구분되는데 서대문역세권 지역은 ‘근린재생일반형’으로 응모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근린재생일반형은, 쇠퇴했지만 잠재력을 가진 주거지역이나 골목상권, 뉴타운·재개발 해제 지역이 대상이다.

또한 충정로역에서 영천시장에 이르는 서대문역세권 지역은 서울시의 ‘희망지 주민공모’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

우선 면적이 23만㎡로 10만㎡ 이상이라는 규모조건과 ‘재개발, 재건축, 도시환경정비구역,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이라는 공통조건을 충족한다.

또 최근 5년간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20년 이상 된 건축물이 71.3%여서 도시재생활성화 법적요건도 갖추고 있다.

서대문역세권이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돼 지역경제 활성화와 공동체 재생의 전기를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