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경제적으로 취약한 이들이 머무는 고시원. 하지만 월세를 내지 못해 이곳을 떠나면 노숙자가 될 우려마저 있어 구가 복지사각지대에 있는 고시원 거주자에 대해 생활실태 전수 조사와 복지 대책 마련에 나선다고 8일 밝혔다.
구는 본격적인 겨울철을 앞두고 진행하는 이번 조사를 통해 고시원 거주자의 생활 실태를 파악하고 ▲맞춤형 급여 신청 ▲민간과 공적 복지 자원을 연계한 체납비 지원 ▲푸드마켓 이용 연계 등을 추진한다.
서대문소방서 자료에 따르면 서대문구 내 고시원은 지난달 말 현재 240곳으로, 이곳에 사는 사람은 7천여 명으로 추산된다.
고시원은 신촌동과 연희동에 각각 121곳과 41곳으로 많고 이어 남가좌2동 17곳, 충현동 14곳, 홍은2동과 북가좌2동 각 11곳, 북아현동 9곳, 천연동 8곳, 홍제2동과 홍은1동 각 3곳, 홍제1동 2곳순이다.
우선 구는 고시원에 주민등록을 한 거주자들에 대해 현재 기초수급, 한부모, 차상위 등 복지급여 대상자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이어 이달 14일부터 30일까지 각 동 주민센터 사회복지 담당 직원들이 관내 고시원 240곳을 방문한다.
이들은 고시원 관계자 등을 만나 고시원비 체납 기간, 직업 유무 등을 바탕으로 위기 상황에 처한 입주자 실태를 파악한다. 또 복지제도 신청 안내문을 게시한다.
필요시에는 고시원 측 협조를 받아 거주자들에게 사전 조사서를 배부할 계획이다.
서대문구는 이번 조사를 통해 발굴한 취약 계층에게 기초생활보장 맞춤형 급여와 임대 주택 신청을 안내한다.
또 고시원비를 3개월 이상 체납하고 위기상황에 처한 가구에 대해, 긴급복지지원제도와 사회복지공동모금회를 통한 체납비 지원을 추진한다.
아울러 고시원 저소득 거주자의 푸드마켓 이용을 안내하고 신청자에 대한 상담을 진행한다. 이용 대상으로 정해지면 2017년 1년 동안 푸드마켓을 이용할 수 있다.
구는 특히 공적 지원이 어려운 경우, ‘100가정 보듬기’나 ‘서대문행복더나누기’ 등의 민간자원연계를 통해 고시원에 거주하는 위기 가구를 지원할 계획이다.
문석진 서대문구청장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급여와 긴급복지 지원, 민간자원 연계 등 고시원 저소득 거주자 복지 욕구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고시원이 복지사각 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