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맞춤형 급여제도 복지사각지대 해소 큰 효과

민간 후원사업 연계 등으로 복지안전망을 더욱 강화

관리자 기자  2016.07.26 14:35:17

기사프린트

서대문구는 지난해 7월 맞춤형 급여제도를 시행한 이래 저소득가구 발굴, 지원 등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큰 효과를 보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이 제도 시행 이전에는 최저생계비 이하 소득가구에 대해 통합된 급여를 지급했는데, 가구 소득이 기준에서 1만 원이라도 넘으면 모든 급여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맞춤형 급여는 소득 수준에 따라 생계, 의료, 주거, 교육에 대한 지원 기준을 각각 마련해 단계별로 지원하는 제도다.

실제로 생계급여는 중위소득의 29% (4인 가구 약 127만 원) 의료급여는 40% (4인 가구 약 175만 원) 주거급여는 43% (4인 가구 약 188만원) 교육급여는 50% (4인 가구 약 219만 원) 이내에 속하면 각 급여별로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구는 맞춤형급여 시행으로 주거급여 266천 원을 새로 지원받아 매달 내는 월세 30만 원에 대한 부담을 덜고, 수급자 탈락을 걱정하던 가정에 희망을 주었으며, 홀몸노인이 복지 담당 직원의 도움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 맞춤형급여 신청을 해 올해 2월부터 생계급여(252,610), 의료급여(1), 주거급여(195,000)를 지원받게 되는 등 복지사각지대 해소에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문석진 구청장은 복지사각지대 발굴과 맞춤형 급여 지원, 대상자 사례관리, 민간 후원사업 연계 등으로 복지안전망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